글에서 그림이 태어나면 이야기가 되고 그림에서 글이 나오면 문장이 된다
소묘
관찰자로부터 거리에 따른 형태 원근과 명도 조절 유의
1. 세로 화면 4등분-가로 너비 약간 좁은듯 하게 잡음.
2. 누.코.입 중심으로 그려나감-눈 전체(둘레)모양 잡은 후 얼굴 완성도에 맞추어 세부 묘사
3. 코 아래 인중과 턱의 밝기(명도) 낮추기-코 끝이 가장 밝다
4. 머리칼은 앞 부분 만 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