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과 그림-담우미술학원

글에서 그림이 태어나면 이야기가 되고 그림에서 글이 나오면 문장이 된다

글은 그림을 품고 그림은 글을 안고

오전반 성인 그림교실·취미반 225

시화 詩畵 한 폭

'툭...꽃잎이 떨어지고/ 나는 아직도/ 그대를/ 기다린다.' -양귀비 꽃. 글. 그림 전수경님. '서로 가슴을 주어라/ 그러나 소유하려고는 하지 말라/ 소유하고자 하는 그 마음 때문에 / 고통이 생기나니. 글:이정하. 그림 자인님. 목련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지를 읽노라/ 꾸름 꽃 피는 언덕에서 피리를 부노라. 박목월 詩. 오영미님 그림. 봄은, 보고 싶어 봄(見)이다./ 아직 남은 겨울을/ 놓지 못한 때-----------------그림. 권옥남 님. 일주일 중간/ 좋은 날/ 수요일.......수경/ 향수/ 자인/ 옥님/ 경희/ 나현 그리고.....담우미술. 글 그림 김나현님. 우리는 모두/ 새상 속에서/ 자기만의/ 꽃을 피우고/ 있어. 글 그림 채경희님.

중독中毒 addiction

매일 오다시피하던 택배가 멎은 현관문 앞이 허전할 때가 있다.주문한 품목을 뻔히 알면서도 가지런히 놓여 있는 택배 상자가 반갑고 궁금하다.그 것을 들고 안으로 들어와서 포장을 뜯고 내용물을 대하는 기분이 즐겁지 않은 적이 없다. 마트에 가서 물건을 살 때와 택배로 받는 느낌은 분명 다르다. 그렇다고 마트에서 살 수 있는 물건을 일부러 택배로 주문하는 일은 없다. 마트에서 사는 것 보다 가성비를 따져 산다든지 마트에서 살 수 없는 물건을 택배로 주문한다. 암튼 현관문을 열었을 때 한쪽 귀퉁이에 택배 상자가 놓여 있으면 물건의 내용을 알면서도 확인하려는 궁금증과 아울러 업되는 기분을 느낀다. 한동안 택배로 주문한 상품이 없을 때, 같은 장소에 낯선 물건이 오도카니 놓여 있으면 급상승한 궁금증과 아울러 ..

푸른달 열닷샛 날

5월(月 moon)이 둥글어간다. 잿빛 구름 뒤로 뿌연 달빛이 다가오는 아침 앞에 있다. 5월이 4계절의 앞에서 계절을 이끄는 선자(先者 leader)이다. 여름이 어떤 난관에서 허우적거랄 때면, 날씨의 지혜를 빌려 맑음과 흐림을 강론할 것이다. 낮은 곳이 많은 지구에서 여름이 채워야 할 강과 호수와 들판을 알려줄 것이다. 사람을 어떤 난관으로부터 이끌어내고 도와야 할지 푸른 달의 녹음과 맑은 날씨로 수업을 이어갔다. 여름이 봄을 앞질러 장마전선을 구축해 날씨와 다툰 적이 없듯이, 여름이 기고만장하여 땡볕과 폭우로 변덕을 일삼을지라도 머잖아 가을이 저기 있음을 제시한다. 계절의 알고리듬 속에서 봄과 여름이 저장한 착한 파일들을 불러와 봄의 푸름과 여름의 녹음을 생장에서 결실의 지혜로 한 해의 보람을 ..

2024년을 보내며

12월25일 크리스마스여서 수요일 수요반 수업을 화요일 24일 오늘로 당겨서 한 날. 마치는 시간 20분 전에 수업을 종료했다. 그리고 올해의 시간을 마무리하는 자축 기념으로 떡을 준비해온 회원님들과 학원에서 준비한 와인을 곁들여 '감사합니다" 의 축배를 들었다. 학창시절에 못다한 그림에의 관심, 그리고 그 마음의 표현을 반평생을 넘긴 지금에라도 풀어보고자 아름아름 모인 분들. 마음대로 따라 주지 않는 감각이지만, 가끔 생활에 쫓기면서도 기어이 출석하면서 잠들어 있던 감각을 일깨워 가는  분들이다. 강사와 함께 와인 잔을 부딪치며 지금까지의 보람과 앞으로 더 나아갈 열정의 시간을 다짐하는 자리였을까. 웃음과 덕담을 나누며 올해의 끝자락에 정겨운 그림 한폭을 그려 놓았다. 다만  개인 사정으로 참석 못한 ..

취미반 블로그

https://blog.naver.com/jodamwoo 그림으로 자신의 취미를 찾아가는 사람들의 블로그입니다. 우리는 무엇을 배운다'고 할 때, 다른 사람의지혜나 방법을 모방 혹은 습득하는 행위로 이해한다. 그림을 배운다고 할 때도 이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사람에겐 누구나 자기의 의식, 감각 속에 원천적인 조형감각이 내재되어 있다. 외부의 제안이나 자극에 따라 발굴 될 수 있는 천성이 있다. 한 번도 미술 교육을 받아 본 적이 없는 사람이 어느 날 어떤 계기에 의해 훌륭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사례가 많이 있다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예: 네모를 그릴 때 반듯한 정사각형이 모든 네모의 정설로 여긴다. 하지만 사람마다 결과가 다르다. 길쭉한 네모, 찌그러진 네모, 심지어 동그라미에 가까운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