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과 그림-담우미술학원

글에서 그림이 태어나면 이야기가 되고 그림에서 글이 나오면 문장이 된다

글은 그림을 품고 그림은 글을 안고

2025/05 4

오월 비는 푸른 비

여느 때처럼 위에서 아래로 내리네구름 아래 사는 풀다운 풀을 적시네나무다운 나무를 적시네 꽃답지 않은 꽃은 축축하네이파리답지 않은 잎사귀는 번들거리네 비를 사모하는 바람이 부네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내리게 불면비의 길답지 않아 빗줄기가 헝클어지네사랑이 삐뚤어져서 폭우가 되어땅 위에 사는 나무와 풀이그답지 못하게 흔들리네눕네 김수영 시인의 풀잎이 금방 일어나지 않네커다란 눈에 푸른 닭똥의 방울이 듣네언제나 과거를 미리 말하는 강수량 위에 여느 때처럼 비는 수직으로 내리네지평선 가로 위에 바람을 적시네 바람다운 바람을 뿌리네풀과 나무와 꽃이 연합종횡하네.

글(文) 2025.05.09

정말 5월인가?

해님이 자러 간 사이 수은주가 앙탈을 부린다. 옷장에 넣어 두었던 패딩을 꺼내 입으란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밤 사이 온순하게 동침하지 않을 거란다. 세탁해서 개어 넣었던 차렵이불마저 꺼내와 덧 덮으란다. 상현달이 밤의 강을 건너며 '푸른달'의 눈빛을 스쳐가도, 별들이 긴 밤의 시간 반짝여도 수은주 그녀는 행짜를 거두지 않는다. 그녀는 사람(?)을 개의치 않는다. 사람 됨됨이가 사람 다워야 사람으로 보는 것 같다. 사람이 계절의 변화를 순순히 인식해야만 5월의 온도를 맞출 의향이다. 사람 같지 않은 사람들이 온도계를 쥐락펴락 후욱 후욱 붉은 막대를 휘두른다. 그들에게 수은주의 높낮이 권리를 맡기고 싶지 않다. 온도에 민감해서 근접한 입김에도 전신이 성감대라 순식간에 감정이 더워진다. 고등어 썩는 입냄새..

글(文) 2025.05.08

정물 사진 정물화

실물 과일과 그릇을 설치해 놓고 그릴 여건이 되지 않을 때가 있다. 과일을 오래 놓아 두면 상해 버린다. 과일을 우아하게 받쳐 줄 그릇도 어울리는 게 흔치 않다. 그럴 때면 인터넷 이미지 사이트를 뒤진다. 깜찍한 구도(構圖 composition)를 갖추고 맛깔나게 조명한 사진이 넘쳐난다. 색깔과 내용이 변하지 않는 사진을 다운 받아 화면으로 보면서 천천히 오래 작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지는 이미지다. 실물이 풍기는 현실감(現實感 the sense forthe real)-리얼리티(reality)을 살리기에는 역부족이다. 실물(實物)과 나(我) 사이에 투명유리처럼 끼어 있는 이미지가 바로 사진(寫眞)이기 때문이다. 평면회화와 유사한 성질을 가졌으면서도 다듬어진 이미지로 밖에 그 이상의 표현 동기를 주지..

수채 정물화 2025.05.04

밤비 봄비

내가 사는 집들의 숲에는밤에 비가 시작되면 그가 몰래 창 너머 젖어들면잎사귀 잠잠한 집들이 깨어나투둑 투두둑평소 말 없던 지붕에서 거는 말귀 닫은 반나절 긴 문이 여는 입나비잠 뒤척이던 사람마저 쫑긋가뭄에 메말랐던 민감 촉감 깨어나 오월의 신록을 머금은 아침봄 이른 꽃들이 마친 서술 아래푸른 낱말 촘촘히 적고 있는 집들의 숲을 건너온몸으로 봄의 여왕 환영하는 산섬섬옥수에 자지러진 나무들이 녹색으로 질리고한 집의 나무에서 눈 뜬 나는물관에 닿은 혈관으로 수유(授乳)를 시작부푼 오월의 가슴에 숨이 막혀 나는 침엽이 되고 싶은 활엽입니다한 그루의 신념으로 뿌리내린 행복이시간 지긋한 그저 그러함수다를 이어온 비가 낮에도 도랑또랑하면다 젖지 못한 말투가 유연해진다지구에 사는 평범한 나무로써 비의 말을 듬뿍 들..

글(文) 2025.05.03